[뉴스포커스] 바이든-시진핑 첫 대면회담…한중 회담 성사되나?

2022-11-15 0

[뉴스포커스] 바이든-시진핑 첫 대면회담…한중 회담 성사되나?


세계의 관심을 모았던 미중 정상회담이 3시간을 넘겨 진행됐습니다.

양국 관계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핵심 의제와 관련해선 근본적인 입장차를 분명히 보이며 대립했습니다.

오늘 윤석열 대통령도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처음 대면할 것으로 보이는데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관련 내용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와 함께 자세히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어제저녁 6시 반쯤부터 미중 정상 간 첫 대면회담이 있었습니다. 미국 시간으로는 새벽 4시 반으로, 굉장히 이른 새벽이었지만, 회담을 라이브로 보도하는 등 관심이 매우 컸는데요. 예상보다 긴 3시간을 훌쩍 넘긴 대담이었는데, 두 분은 어제 미중 정상회담 어떻게 보셨는지, 먼저 간단한 총평부터 해주시죠.

그 동안 코로나로 인해 전화나 화상으로 5번이나 비대면 회담을 진행했지만, 굉장히 분위기가 안 좋았거든요? 그런데 이번 회담을 보면 확실히 부드러운 분위기가 연출됐습니다. 이번 미중 정상회담은 왜 분위기가 달라진 걸까요? 이번 미중 정상회담의 의의를 짚어주신다면?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인연은 201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니까 굉장히 오래되지 않았습니까? 친분은 두터우나 10여년이 지난 지금 관계는 엄청나게 달라진 상황입니다. 이제는 미중을 대표하는 국가수반으로, 시진핑은 3연임으로 내부 권력을 탄탄히 다졌고, 바이든 역시 미 중간선거에서 상당히 괜찮은 성적표를 받은 상태에서 만남을 가진 건데요. 더 이상 갈등하지 말자는 입장은 같았던 것 같아요?

이번 회담에서는 대만 문제와 무역갈등, 우크라이나 사태 등 여러 현안들이 폭넓게 논의가 됐는데요. 특히 북한 도발에 대한 대응도 비중 있게 논의 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셨습니까?

이런 가운데 중국 발표문을 보면 결국 북핵 문제가 언급되지 않았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바이든 대통령은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대북 경고를 위한 "추가적인 방위 행위"를 거론했지만, 추가적인 방위행위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는데요. 만일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하거나 추가 도발을 계속 한다면 미국은 어떤 전력 강화책이 나올 거라 보십니까?

미국은 북한의 도발 행위를 중국이 방치할 경우 역내 군사력 배치 강화로 대응할 것임을 밝혔기 때문에 이것이 또 다른 미중 간 갈등의 씨앗이 될 것임을 잘 알고 있을 텐데요. 중국이 언제까지 북한의 도발을 용인하고 지켜보고 있을 거라 보십니까?

이번에 미중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문제도 비중 있게 논의가 됐습니다. 백악관의 발표에 따르면 시 주석이 승자가 없는 핵전쟁은 있어선 안 되며 우크라이나에서의 핵 사용이나 핵 위협에 반대한다는 입장에 동의했다고 하는데요. 이게 사실이라면 이 부분도 꽤 가시적인 성과가 아닐까 싶거든요?

뉴욕타임즈가 북한이 올해 기록적으로 많은 미사일을 쏘며 도발하는 것은 미국과 중국, 러시아가 대치하는 '신냉전' 양상을 기회라고 감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는데요. 미중이 우크라이나의 핵사용, 핵 위협 반대에 뜻을 같이 함으로써 북한도 7차 핵실험에 대한 동력이 사라지게 되지 않았을까요?

이번 미중 정상회담은 한미일 정상회담 이후에 열리면서 한미일 3국이 경제, 군사적 연대를 더욱 강화한 이후 열렸습니다. 확실히 한미일이 프놈펜 성명을 통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는 입장을 확고히 밝힌 건데요. 어제 미중이 만났고, 일본도 17일 중일 회담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우리나라도 이번 해외 순방을 통해 중국과의 만남을 계속 시도하고 있는 것 같은데, 아직까지 성사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한중 회담 성사 여부,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우리나라도 이번에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을 발표했는데요. 이에 대해 중국 입장에서는 한국이 미국과 뜻을 같이 했다고 생각할 수 있을 텐데, 이것이 중국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전달해야 하지 않을까요? 과거 사드 보복을 겪었던 우리나라 입장에서 이번 선택이 가져올 영향에 대해 관리를 잘해야 할 것 같단 생각이 들어요?

미중 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언제, 어떤 도발을 감행할지 궁금한데요. 미국이 북한의 도발 시 추가 조치가 가능하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조치가 나오지 않았고, 중국 역시 여전히 방관자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현 상황에서 북한은 어떤 입장, 어떤 선택을 하게 될 거라 보시나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